모바일 메뉴 닫기

 
제목
석사 2006 : 이규원 : 지식노동자의 주체형성 : IT 소프트웨어산업 프로그래머를 중심으로
작성일
2022.03.29
작성자
문화인류학과
게시글 내용

지식노동자의 주체형성 : IT 소프트웨어산업 프로그래머를 중심으로 = (The) formation of knowledge worker's subjectivity : through a case study on programmers in Korea / 이규원. 2006 

지도교수 : 김현미 


이 논문은 후기자본주의 시대의 노동주체성의 형성과정을 IT산업에 종사하는 프로그래머들의 경험으로부터 분석한 연구이다. 후기자본주의는 이전의 산업자본주의와는 질적으로 전혀 다른 이미지로 다양하게 표상되고 있고, 각각의 표상들이 지닌 강조점과 맥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담론들은 현재의 경제 질서가 모두 지식과 정보가 중심을 차지하는 새로운 경제 질서로 전환되었다고 인식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새로운 경제 현상들에 대해 경제적 담론들이 설명을 시도하는 것과 더불어 최신 경영담론들은 새로운 형태의 노동자상을 그려내기 시작했고, 이러한 담론들은 글로벌 지식유통 체계를 통해 1990년대에 한국에 유입되기 시작했다. 신경영기법과 지식노동자 담론으로 대표되는 경영담론들이 요구하고 있는 새로운 노동주체성에 대해 비판적인 연구들은 이와 같은 담론이 이데올로기로 작동하는 방식들을 주로 다루어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노동주체성의 형성과정이 담론과 주체 사이의 문제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산업현장 속에서 행위자들이 실천하고 해석하는 과정이라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노동주체성의 형성과정을 노동주체가 담론과 경험 사이에서 해석과 협상을 거쳐가는 과정으로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프로그래머들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노동조건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2005년에 이르기까지 발달해온 IT산업의 현재적 조건을 소프트웨어산업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소프트웨어산업 특성과 구조, 고용규모와 상황, 이윤생산 방식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둘째, 프로그래머들이 어떻게 후기자본주의가 요구하는 노동주체로 형성되어 가는지 심층면접과 경험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노동과정과 노동경험에 대한 해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팅 서비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2년 이상 경력의 프로그래머 19명을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자본주의 하에서 프로그래머들은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것으로 자신의 노동역량을 평가받게 되면서 지속적인 학습주체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노동주체는 한국의 산업구조 속에서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전문성을 획득하기보다는, 비전문적이고 다기능적인 노동을 통해 전체적인 노동강도가 더욱 심화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둘째, 프로그래머들은 후기자본주의 하에서 자율적인 노동주체로 형성되는데, 이는 자신의 책임 하에 자기를 스스로 관리할 것을 요구받게 되는 것이다. 프로그래머들은 노동과 취미의 모호한 경계 속에서 자율적으로 기술을 학습하고 계발하게 된다. 이런 경제적 보상을 받지 못하는 행위들은 후기자본주의 하에서는 자율적 주체를 가정하는 아웃소싱(outsourcing) 시스템 속에서 자신의 ‘책임’으로 주어져 자본의 가치화과정에 포섭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셋째, 프로그래머들은 더 이상 자신을 기업에 소속되어 기업과 운명을 같이하는 노동자로 정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삶을 스스로 기획하고, 관리하고, 운영해나가야 하는 일종의 기업으로 간주하는 기업가적 주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자기 자신이 하나의 기업으로서 위험부담을 안고, 스스로의 삶을 기획하며, 그 결과를 전적으로 책임져야하는 노동주체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기자본주의의 시대에 IT산업은 신경제의 핵심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되고, 프로그래머 역시 지식노동자로서 이러한 시대를 이끌어나갈 새로운 노동주체로 재현되어 왔다. 그러나 프로그래머들은 전지구적인 경영담론의 창조적 행위 관리 방식뿐만 아니라, 한국 소프트웨어산업 구조의 반주변부적 성격으로 인해 더욱 심화된 노동강도 속에서 노동해야만 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머들의 주체화 과정은 일방적인 이데올로기화 과정이 아니라 경영담론과 노동경험의 상호작용 과정이며, 이들은 적극적 행위자로서 협상과 전략을 통해 노동시장에서 자기영역을 확장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 논문은 지식노동자와 같은 후기자본주의의 보편적 노동주체의 형성과정을 프로그래머들의 구체적인 노동경험을 통하여 밝혀내고, 이를 통해 신경제의 노동주체성의 담론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목차 

표차례 

우리말 줄임글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대상 및 방법 

제3절 논문의 구성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관점 

제1절 후기자본주의의 노동주체성:지식노동자 

제2절 이데올로기로서의 문화 

2.2.1문화적 기획으로의 주체성 

2.2.2노동에서 삶으로 

제3장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구조에 대한 분석 

제1절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시장규모 및 고용현황 

제2절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구조 

3.2.1도급 구조와 단가 인하 

3.2.2“갑을병정”형 도급구조 

제4장 프로그래머의 노동주체 형성 :지식노동자 되기 

제1절 지속적인 자기혁신 :“계속해서 배우고,계속해서 가르쳐라” 

4.1.1.자격에서 역량으로 :능력에 대한 재현의 변화 

4.1.2.프로그래머의 역량 :지속적인 학습주체 

4.1.2.1.경험을 통한 지속적인 학습 

4.1.2.2.트렌드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학습 

4.1.2.3.멀티플레이어에 대한 요구 

제2절 자율성과 책임 :“스스로를 관리하라” 

4.2.1.무상노동 -노동/취미의 경계 

4.2.2.자율적 주체 행위의 번역과 포섭 

제3절 기업가적 주체 :“자신이 원하는 것이 되라” 

4.3.1예측불가능성과 자기-계산 :삶의 기획으로서의 이직 

4.3.2자신의 ‘능력과 성과’:임금과 보상체계 

제5장 프로그래머의 적응과 의미해석 

제1절 단순직으로서의 자기재현 

제2절 자기계발과의 긴장관계 :코더 vs프로그래머 

제3절 노동수명 이후 노동 :제2의 경력 

5.3.1.경영 및 관리직으로의 전환요구 

5.3.2.경력경로의 협상과 확장 

제6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표차례> 

<표 1>연구참여자 명단 

<표 2>정보통신산업 기초현황 

<표 3>회사규모별,SW전업여부 별 소프트웨어 사업자수의 구성 

<표 4>소프트웨어 매출액별 소프트웨어 사업자수 

<표 5>소프트웨어 관련 직업의 고용실태 

<표 6>국내 SI시장 제품별 점유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