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제목
석사 2007 : 이은영 : 신자유주의와 1990년대 이후 한국 대형교회의 변화
작성일
2022.03.29
작성자
문화인류학과
게시글 내용

신자유주의와 1990년대 이후 한국 대형교회의 변화 = Neoliberalism and a new protestant ethic :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mega-churches since the 1990s / 이은영. 2007 

지도교수 : 나윤경 



이 논문은 1990년대 이후 한국 개신교 교회 내의 교인 수평이동과 그로 인한 교회 간 양극화 현상이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변화와 갖는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 사회에서 종교는 사회 변화를 주도하기보다 사회 변화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여전히 개개인의 사고와 생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큰 종교는 신자들을 사회에 적응시키는 사회화 기능을 함으로써 다시 사회 변화에 기여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근거한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1990년대 이후 교회 변화를 신자유주의적 사회 변화라는 개념으로 풀어내지 않았음에 착안하여 시작하였다. 연구의 중심이 되는 질문은 1) 한국 사회의 신자유주의적 변화는 교회 구조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 2) 교회는 신자유주의적 신념들을 어떻게 기독교 윤리적 담론으로 변화시키는가, 3) 교회의 신자유주의적 변화의 효과가 신자들과 한국 사회에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가로 요약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1990년대 이후 교인 수평 이동으로 인한 성장이 뚜렷하며, 현재 한국 개신교 내에서 미래 지향적인 본보기로 여겨지고 있는 두 교회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 이 교회의 구조와 담론의 변화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측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본이 어떠한 제재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흐를 수 있는 시장을 구축하고, 그 시장적 질서에 따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사회를 만들어 줄 수 있다는 기본적인 믿음에서 출발한 경제․사회 철학인 신자유주의의 영향력이 지배적인 사회에서는 무한 경쟁이 긍정되고, 그로인한 양극화가 용인된다. 전 사회에 시장의 논리가 팽배해져 국가적으로는 사회 복지가 축소하고, 민주주의와 공동선의 가치가 갖는 영향력이 줄어든다. 기업은 무한 팽창과 고효율의 달성을 위해 구조조정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고용과 노동의 안전망이 사라지고 개별화된 노동자들이 부유하는 유연화된 노동체제를 야기한다. 공적 보호 없이 원자화되어 무한 경쟁 상황에 당면한 노동자들의 삶은 불안의 연속이지만, 이런 사회적 변화를 정당화하면서 개개인을 적응시키는 자기계발 담론과 실천이 유행하게 된다. 

한국 사회에 이 같은 신자유주의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 때, 한국 개신교 교회는 신도 성장 정체 극복이라는 내적인 요구에 직면해 있었다. 이에 한국 교회는 교회 설립과 운영에 기업 경영적 원리를 접목시킨 교회 성장학과 이를 적용하여 성공한 몇몇 미국 교회의 예를 받아들였으며, 이를 한국적인 맥락에 적용시키기 시작하였다. 신자유주의의 중요 이념을 기독교적 가치로 전환시킨 북미 일부 신보수주의 신학자들과 목회자들 사례의 도입과 참조도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 대상 교회 분석을 통해서 알아본 신자유주의적 성격의 교회의 구조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연구 대상 교회들은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하는 예배를 제공한다. 예배를 진행하는 사람과 참석하는 사람이 명확히 구분된 하나의 잘 준비된 공연과 같은 예배가 제공되고, 참석하는 신자들의 성별, 연령, 직업, 관심사 등에 따라 만족도를 최대화하도록 구성된 예배를 제공하고 있었다. 둘째, 신자들의 삶의 다양한 필요성을 채워줄 특화된 프로그램들을 제공한다. 가정에서의 부부와 부모의 역할에서부터, 우울증과 중독 극복, 재정 관리 등에 이르기까지 개인들의 삶에 있어서 필요한 실질적 요구들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다양하고 특화된 프로그램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를 신자들이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교단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성장을 도모한다. 연구대상 교회들은 설교와 프로그램 등을 상품화하여 판매하며 그를 기반으로 대형 기업처럼 성장하고 있다. 이에서 나아가 기독교 서원, 인터넷 쇼핑몰, 케이블 방송 등 기독교 관련 사업을 매입하고, 이러한 규모를 기반으로 지성전 체제 등을 통한 국내외적 팽창을 시도하고 있다. 

교회에서 설파되는 담론의 변화와 신자유주의적 특징이 공명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자본주의의 현 체제를 긍정한다. 개인의 자유와 행복 추구를 가능하게 하는 현 사회 체제에 대해 긍정하며, 사회 제도에 대한 비판이나 개혁보다는 성공하여 자선을 베푸는 중심적 계층이 될 것을 권유하고 있다. 둘째, 개인의 성공을 위해 자기 점검과 관리를 독려하고 있다. 성공하는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진단과 끊임없는 자기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득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직한 개인과 행복한 가정이 건강하고 안정된 사회를 만든다는 신보주주의적 가치를 설파한다. 사회 문제의 구조적 결함을 찾기 보다는, 개인적인 변화를 통한 사회 변화를 꾀하며부의 양극화와 무한 경쟁으로 인해 와해되는 사회 공동체에 관심을 쏟기 보다는 개인과 핵가족의 안녕과 행복 추구에만 집중하도록 하는 담론이 제공된다. 

이러한 교회의 형식적이고 내용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은 사회적 효과를 가진다. 첫째, 목회자와 교회 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난다. 다양한 기능들을 관리하며 수평이동 하는 부목사들과 주로 설교를 담당하며 교회의 최고 경영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담임 목사 간의 양극화가 발생한다. 또한 개별 교회의 경계를 넘는 팽창이 규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회간의 성장 양극화와 이로 인한 개신교내 교회 권력 불균형이 생긴다. 둘째, 개인적인 불안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불안이 상존하는 사회적 변화에 대해서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기 보다는 개인적인 불안을 일시적으로 상쇄시키고, 결국은 개인들이 다시 사회에 적응하도록 만드는 사회화의 역할을 담당한다. 셋째, 개인과 핵가족 중심의 신자유주의적 ?공동체성?을 야기한다. 지나친 개인과 가족 행복에의 집중은 공동체 범위를 가족으로 축소하고, 가족이기주의를 조장한다. 다른 교인이나 교회, 사회에 대한 공동체적 책임 의식은 수량화된 소극적 의미의 자선 활동이 대치하게 된다. 

요컨대, 한국의 일부 대형 교회들은 교인 성장 정체라는 교회 내적인 요구에 직면하여 내부적 변화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신자유주의적 사회변화에 영향을 받아 교회 구조적으로는 신자의 만족에 민감하며, 무한 성장과 팽창을 시도하는 기업 운영원리와 유사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현 사회 체제를 수용하고, 사회에서의 성공을 긍정하는 담론을 종교적 윤리 강령으로 변화시켜 신자들을 변화된 사회에 적응하도록 추동하는 사회화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차 례 

우리말 줄임글 

제 1장 서론 

제 1절 문제 제기 

제 2절 이론적 배경 

제 3절 기존 연구 검토 

제 4절 연구대상과 방법 

제 2장 신자유주의적 사회 변화와 기독교 

제 1절 신자유주의와 사회 변화 

2.1.1신자유주의의 기본 철학 

2.1.2효율성 중심의 국가 운영 기조 변경 

2.1.3기업의 구조조정과 유연한 노동체제 

2.1.4개인의 불안 증가와 자기 계발 문화의 유행 

제 2절 신자유주의와 조응하는 기독교 

2.2.1소비자 친화적 교회 

2.2.2신자유주의적 담론의 기독교적 적용 

제 3장 한국 개신교의 신자유주의적 변형 

제 1절 시장 논리에 근거한 교회의 구조조정 

3.1.1교회 성장학의 유행 

3.1.2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하는 예배의 구성 

3.1.3신자들의 다양한 욕구에 따른 특화된 프로그램의 도입 

3.1.4교단과 국가의 경계를 넘는 교회의 팽창 

제 2절 신자유주의신보수주의적 설교와 담론의 유행 

3.2.1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자본주의 옹호 

3.2.2개인의 성공을 위한 자기 점검과 관리 독려 

3.2.3정직한 개인과 행복한 가정에서 비롯되는 건강한 사회 강조 

제 4장 교회의 신자유주의적 전환과 그 사회적 효과 

제 1절 개신교 내 교회와 목회자간 양극화 

제 2절 불안한 심정을 일시적으로 상쇄하는 기능 

제 3절 개인과 핵가족 중심의 신자유주의적 공동체성 

제 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표 차례 

[표 1]연구 참여자 그룹 1:대상교회 목회자와 신도 

[표 2]연구 참여자 그룹 2:타교회 목회자와 신도 등 

[표 3]A교회 일요일 예배 종류와 특징 

[표 4]일주일간 A교회에서 이루어지는 예배의 종류와 특징 

[표 5]A교회의 맞춤 전도 집회 현황 

[표 6]A교회와 B교회에서 행해진 설교 제목 중 일부 

[표 7]A교회와 B교회의 새신자 교육 프로그램 내용 

그림 차례 

[그림 1]A교회 창립 이후 신도 수 변화 

[그림 2]A 교회 선교 사역 아래 속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 




[영문]In the 1990s, Korea underwent serious socio-economic change owing to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the diffusion of neoliberal economic principles. Over the same period, recently established "mega-churches" grew into large institutions with congregations numbering in the thousands. The membership of these mega-churches increased not by converting non-believers into Christians, but by attracting believers from other churches. As a result,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witnessed a widening gap between growing mega-churches and long-established, smaller churches with congregations in decline. This thesis explains the process of bipolarization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by examining how mega-churches addressed socio-economic change. The thesis finds that Korea's mega-churches and their celebrity pastors became successful by adjusting to and affirming the social changes associated with neoliberalism. Mega-churches rose to prominence by adapting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practices from large corporations and offering discourses that support the individual's pursuit of economic prosperity. 

Neoliberalism is a philosophy that prioritizes unrestrained flow of capital in the market, and idealizes a society that runs according to the spontaneous order the market creates. In a society subscribing to neoliberal principles, there is unrestricted market-driven competition among different segments of society. Neoliberal governments prioritize economic growth over social welfare programs and remove obstacles to market forces. Companies reconstruct themselves to most profitably meet market demands, often resulting in employee layoffs and turning regular jobs into more flexible, less secure ones. With the absence of a social safety net in the face of economic volatility, many people feel anxious and uncertain. To cope with sudden and often dramatic social changes, they seek guidance for their lives that will attenuate their fears and provide confidence. 

A popular remedy is the so-called self-empowerment discourse which encourages individuals not to blame external factors and instead better manage their own lives. This discourse maintains that current failure is a great opportunity to become the ‘CEO’of one’s own life and achieve personal success by adjusting oneself to the changed society. According to this ?neoliberalist gospel,? people individually seek their own way of being successful, and monitor and discipline themselves to become hardworking and apolitical laborers. 

Social changes affect the practice of religion, and religion, at the same time, can socialize its believers to a changed society. In order to understand how neoliberalist social changes affected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is thesis performs in-depth studies of two mega-churches in Seoul. These churches are examined both in terms of their organizational change from earlier Protestant Church structure and in terms of the different messages offered in their sermons and church materials. 

In terms of organizational changes, the two churches of study adopted management principles from companies in order to attract more believers. First, they ran customer demand and satisfaction surveys, and modified their worship services and small groups. In the mega-churches, worship services are regarded as differentiated products for individual needs and choice, and commitment to small groups is more casual than in traditional church congregations. Second, mega-churches expanded their reach beyond their immediate congregations via newspaper and book publishing, radio and television broadcasting and the Internet. Mega-churches also expanded their influence by acquiring seminaries. Third, based on their popularity and wealth, mega-churches established multiple branches or ?daughter-churches? throughout Korea and around the world. Thus, much like a business conglomerate, Korean mega-churches aggressively pursued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growth in the religious market. 

In terms of changes in religious discourse, mega-churches exhibited three departures from earlier established church gospels. First, mega-church pastors do not question current social changes but praise neoliberal society for letting one seek individual happiness and wealth. They urge believers to adjust to the social changes and focus on their own success. Second, in order to help their adherents become successful, mega-church pastors say one should monitor and discipline oneself, and follow detailed steps to achieve one’s goal. Toward this end, mega-churches provide such services as aptitude tests for jobs, specialized worship services and bible readings for business owners and so on. Third, mega-church pastors preach that one should be honest and build a happy family to contribute to a healthy and stable society. Mega-church sermons and programs tend to focus on individuals and their immediate families, rather than making societal issues and welfare of primary concern. 

The transformation of church organization and doctrine exhibited in the mega-churches of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hristian community and society at large. First, among protestant churches, those that internalize neoliberal ideas become very successful and expand their influence beyond their own churches. This causes a bipolarization and growing disparity among churches. Second, mega-churches use self-empowerment discourses to encourage individuals to be successful in society as a religious obligation. Third, emphasis on the individual and familial matters limits commitments to fellow church members and other social communities. This tendency produces indifference to the common prosperity and the challenges faced by others in society. 

This thesis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neoliberalist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since the 1990s. The transfer of existing believers to mega-churches and the resulting gap between mega-churches and earlier established churches is explained by the adaptation to and affirmation of neoliberal principles. While mega-churches have thrived in the neoliberal context, their growth and success highlight serious challenges to traditional church organization, values and the role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