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제목
석사 2008 : 이충한 : 디지털 복제 시대 문화 생산과 향유에 대한 연구
작성일
2022.03.29
작성자
문화인류학과
게시글 내용

디지털 복제 시대 문화 생산과 향유에 대한 연구 - 1998-2007 한국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Cultural Production and Enjoyment in the Era of Digital Reproduction Focusing on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during 1998-2007 / 이충한 . 2008 

지도교수 : 조한혜정 




<국문요약> 


이 논문은 최근 10년간의 한국 대중음악이 디지털 복제 및 전송이라는 신기술로 인한 산업 인프라의 이행기를 맞아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음악산업은 비물질적 재화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비물질노동에 속하며, 편곡과 연주, 녹음 과정에서 디지털 기기의 비중이 크다. 상품의 형태도 비물질적이고  유통 및 최종소비도 비물질 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음악산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다가오고 있는 비물질적인 노동 및 산업의 성격에 대해 대강이나마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연구들은 작가론이나 수용자론, 혹은 이데올로기로서의 음악에 집중하고 있어 한 시대의 지배적인 기술적 환경 및 그것과 시장 주체들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잘 분석해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복제기술이 소비뿐 아니라 유통과 생산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기술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공통점과 연관성을 밝혀내려 하였다. 

한국 음악시장이 지난 10년간 매우 빠른 속도로 위기에 빠지게 된 원인은 유통에서의 독점권을 디지털 복제 네트워크에 빼앗기면서 무임승차의 문제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음악상품이 공공재로 인식될 만큼 시장이 초토화된 것은 한국 음악시장이 리스크에 취약한 동형적 시장이었기 때문이다. 포디즘적 대량생산-대량소비방식의 아이돌 그룹 중심 생산-소비체제는 초기 투자비용을 상승시키고 음악스타일을 한정지었으며 소비자집단을 지나치게 동질화시키는 등 투자, 개발, 시장 분야에서의 리스크가 분산되지 못하는 부담을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시장 경직성은 MP3 파일의 무단 다운로드, 즉 디지털 공유 네트워크 속에서의 소비자 주도적 유통행위를 만나면서 음악시장이 한꺼번에 위기를 맞게 되는 가장 큰 요인이 되었다. 음악시장에서 소외되었다고 느낀 20-30대들은 이미 시장을 떠난 상태였고, 이 상황에서 동질적이고 집합적인 10대 소비자들이 한꺼번에 디지털 반시장 네트워크로 이동함에 따라 음악의 구매자층에 공동화 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이렇듯 2000년대의 MP3 무단공유 열풍은 청취행위의 변화 및 뮤지션 재생산의 실패와 맞물려 청취자들을 전반적으로 멀어지게 하여 음악시장의 장기적인 침체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음악시장의 변화에 대한 연구과정을 통해 이 논문이 전체적으로 주장하려는 바는 세 가지 정도가 될 것이다. 

첫째, 음악 생산과 소비는 기술적 매체 및 유통매체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변화하기 때문에, 제도, 문화, 기술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일방적으로 바뀌지 않는다. 같은 맥락에서, 물적 토대가 개선되지 않는 한 음악 생산자들이 풍요롭게 음악을 만들도록 기대할 수 없으며, 반대로 생산자들이 ‘좋은 음악’을 많이 만들어 낸다고 해서 ‘CD(앨범)소장문화’가 돌아오지도 않을 것이다. 또한 대안적인 음악생산과 청취문화 역시 단순히 ‘더 나은 (근대적 개인) 창작자’나 ‘착하고 성실한 팬’들의 ‘의식’이나 ‘양심’에 기대할 수도 없다. 현 문제에 대한 해결책들은 문화와 기술, 그리고 제도를 모두 고려해야만 효과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디지털복제 시대의 저작권은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적 이익과 개인적 이익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새롭게 조정되어야 한다. 디지털 네트워크 속의 비물질상품과 사람들, 그리고 문화는 마치 하나의 생태계처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문화산업 분야의 비물질노동에 대한 경제적 보상체계가 미비한 한국에서는 영화, 방송컨텐츠, 교육서비스 등 다른 많은 3차산업들도 디지털 매체의 발달과 함께 음악산업과 비슷한 길을 걷게 될 수 있다. 한국 경제가 많은 분야에서 지식경제, 미적(美的)경제로 이행하고 있는 지금, 지식-정보-문화적 재화의 공적 사용에 대해서 사회적인 합의를 이뤄내지 않는다면 미래에 큰 혼란이 야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디지털 공간의 질서를 파괴하고 있는 공유중개업체들에 대해서는 사회적 차원의 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 한국 대중음악이 겪고 있는 가장 심각한 내용적 위기는 음악제작에 있어서의 획일적 분위기, 즉 다양성의 부재이다. 이는 위의 디지털 복제 환경과 맞물려 음악 청취자들이 음반시장을 외면하게 되는 주요한 이유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것은 미학적 당위성이 아닌 산업적 효율성의 언어로 풀어야만 실천적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다양성의 부재’는 흔히 말하는 미학적이나 정치적인 수준의 언어가 아니라 산업적 측면에서의 적정수준에 대한 이야기이다. 거대기획사들의 독과점과 그들의 사업모델을 모방하는 군소기획사들에 의해 주류 대중음악 씬이 지나치게 동종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된 음악산업의 구조적 문제점이 극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음악시장의 현 상황은 청취환경의 변화, 디지털 공유, 생산 씬의 양극화라는 요인들이 서로 얽혀서 한 가지씩 차근차근 풀어나갈 수가 없는 상황이 되었다. 가장 먼저 ‘디지털 공유영역’ 속에 함몰된 음악들의 일정부분을 합리적인 방법을 통해 시장영역으로 되돌리지 않으면 음악산업이 침체에서 벗어나기는 힘들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어떠한 법적, 제도적, 기술적 장치로도 디지털 무단공유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는 없으며, 대다수의 무단공유를 차단한다고 해도 이미 가요시장을 외면한 청취자들이 돌아오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오히려 음악의 흐름을 막을 경우 청취행위 자체가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음악 제작자들 역시 청취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얻기 위해 그들과 소통하며 새로운 음악 씬을 재건해 나가야 한다. 


비경쟁적 자원인 디지털 상품은 둘로 복제해서 나누어 가져도 원본에 피해를 입히지 않는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한히 무단공유를 인정하다보면 상품을 생산하는 자본과 노동이 더 이상 재생산될 수 없는 단계에 이를 수 있다. 반면 점점 공유와 흐름을 막는 방향으로만 나간다면 많은 정보들이 유통되지 않아 쓰레기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따라서 생산자들과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사유와 공유 사이에서 적절한 지점을 찾아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글의 가장 큰 목적은 이렇게 복잡한 문제에 대해 음악산업 관계자 및 청취자들이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소통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함께 나눌 수 있는 언어가 없다면 소통을 위한 어떠한 노력도 물거품이 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핵심어 : 문화산업, 음악산업, 음악시장, 대중음악, 무단공유(복제), P2P, MP3, 다운로드, 저작권, 비물질노동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 대상 및 방법 

1.2.1. 연구 대상 

1.2.2. 연구 방법 

제3절. 논문의 구성 


제2장. 이론적 논의 

제1절. 대중음악과 디지털 복제에 대한 논의 

2.1.1. 디지털 복제와 저작권 : ‘자유문화’와 ‘허가문화’ 

2.1.2. 기술과 인간, 문화의 상호 작용 : 포노그래프 효과 

제2절. 탈산업-정보사회의 경제와 비물질 노동 

2.2.1. 비물질노동으로서의 음악생산 

2.2.2. 디지털 정보사회와 공공성 

제3절. ‘예술가적 진정성’ 담론 


제3장. 한국 대중음악의 구조적 변화 

제1절. 기획-제작부문 

3.1.1. 음악시장 수익 구조의 변화 

3.1.2. 세 번의 이행기와 제작방식의 변화 

제2절. 생산부문 

3.2.1. 디지털 저작도구의 발전과 작편곡 개념의 변화 

3.2.2. 음악생산과정의 전문분업화 

제3절. 유통, 소비 부문 

3.3.1. 수록매체, 추천·매개 미디어 및 재생기기의 변화 

3.3.2 유통-추천·매개-소비의 통합과 무단공유의 문제 


제4장. 생산자와 소비자 및 그 관계의 변화 

제1절. 생산자 : 뮤지션에서 종합적 문화노동자로 

4.1.1. 음악적 재생산 및 생존의 어려움 

4.1.2. 음악의 악세서리화와 실존적 위기감 

4.1.3. 독립형 뮤지션들의 중,저예산 생산 전략 

제2절. 소비자 : 청취, 추천·매개문화의 변화 

4.2.1. 새로운 청취 스타일 : 즉시-접속하고 공유하는 음악 

4.2.2. 추천·매개권력의 탈중심화와 청취자 감성의 분화 

4.2.3. 프로츄어 뮤지션을 지향하는 소비자들 

제3절. 생산자와 소비자 욕망의 결합과 분리 

4.3.1. 90년대 : 근대적 개인주체와 세계에 대한 욕망 

4.3.2. 2000년대 : 미지근한 탈근대적 주체들 


제5장. 비물질 공유/유통영역과 음악의 미래 

제1절. 비물질 공유/유통영역의 사회성 

5.1.1. 음악상품의 탈물질화에 대한 거시적 분석 

5.1.2. 노동문제 및 세대문제로서의 비물질노동 

제2절. 근대적 생산자-소비자의 이분법을 넘어서 

5.2.1. 미분화된 동종적 음악시장 

5.2.2. 중소 마이너-인디를 중심으로 한 ‘코어그룹 씬’의 형성 

5.2.3. 동조화된(synchronized) 글로벌 음악시장의 활용 

5.2.4. 인터액티브한 소비자 참여형 생산-소비환경의 구축 


제6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표 차례> 

표 1 음악 씬을 둘러싼 각 분야의 주체들 

표 2 연구참여자 특성(생산자 그룹) 

표 3 연구참여자 특성(청취자 그룹) 

표 4 음악 장르간 이분법적 위계구조 

표 5 2001-2005년 세계 음악시장 규모 비교 

표 6 음악시장규모 추이 (세부항목 포함) 

표 7 컨텐츠 공급자와 이동통신사의 국가별 수익분배율 (2005) 

표 8 불법 및 합법시장의 컨텐츠별, 형태별 단가 



<그림 차례> 

그림 1 실물CD시장과 디지털음원시장 규모 추이 

그림 2 음악시장의 범위 41 

그림 3 한국 음악산업의 규모 (실물음반합계, 도매가 기준) 

그림 4 AKAI 샘플러 S-5000, MPC 1000 

그림 5 샘플 루프를 이용한 편곡의 예 

그림 6 가상악기 ‘AKOUSTIK PIANO’와 ‘minimoog V’ 

그림 7 실물음반의 구매행위를 둘러싼 여러 가지 미디어들 

그림 8 포맷별 미국 음반 판매량 추이 

그림 9 P2P사이트 내에서 정보-자료 및 가치의 흐름 




ABSTRACT 


A Study on Cultural Production and Enjoyment 

in the Era of Digital Reproduction 

Focusing on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during 1998-2007 



Lee, Chung-Han 

Graduate Program in Culture and Gender Studies 

Major in Culture studies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hanges in Korean pop music,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issues of digital re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s. Over the past decade, the emergence of illegal downloads thorough peer-to-peer (P2P) networks have undermined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Recent technological innovations have allowed Internet users to access and trade digital music files without due charges towards the producers of music. The new technologies are practically transforming recorded music into public goods, as hardly any Internet user in Korea cannot be virtually blocked from enjoying an inexhaustible supply of digital copies. With the nature of market homogeneity in Korea and a practically non-existent legal support concer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Korean pop industry had no means to prevent a mass exodus of consumers from the actual formal market. 

Innovation in digital sound processing technology may alienate a musician from his/her work from its nature of fragmentation in the process of arranging, performing and recording. Technological breakthroughs, however, have provided substantial leverage to the music producers at the same time, allowing creation of music at a relatively lower cost in comparison to the past. Technological innovation also reveals the contradiction in copyright laws, making a continuum between abstraction and concreteness. 

The arguments of the thesis concerning the topics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production and the enjoyment of its process are not entirely subject to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overall transition process of the musical market is on account of culture, technology and system as a whole. Second, the copyright laws that gover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revised to balance personal and public interests. Moreover, Internet service providers profiting from web storage provisions for illegal downloads would be gradually eliminated from position between the producers and the consumers once global recording companies launch lawsuits following an expected ratificat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S. Third, Korean music industry should regain diversity in its contents through innovative ways to encourage investment and spending. 

The thesis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culture in an era of digital reproduction, seeking critical analysis in the operation of culture.  As the Korean pop industry has undergone a rough and compressed transition, from a material market to an immaterial one, the experience shoul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and insight into digital cultures and its economic aspects. 



Key words: Cultural industry, Music industry, Music market, Korean pop music, peer-to-peer(P2P) network, MP3, illegal download,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mmaterial labor